도무지 시작시 서비스 실행 등록을 찾지 못해서
PC 켜고 매번 수동으로 서비스를 실행시켰는데.... ㅎ....
드뎌 찾았다....
sysv-rc-conf
이거 설치하고, 실행하면 서비스별 런 레벨 별 설정이 가능하다.
[X] 시작됨
[ ] 시작되지 않음
변경 즉시 저장된다.
# inetd 데몬
socket 수신(서버)대신에 inetd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지정한 포트에 수신이 되면 설정해놓은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시켜주는 아주 똑똑한 녀석이다.
포트 설정은 /etc/services 파일에 , 실행되는 파일은 /etc/inetd.conf에 설정해 놓으면 된다.
/etc/services
proc1 9001/tcp proc2 9002/tcp |
/etc/inetd.conf
-inetd.conf파일 설정 보는법
[service] [socket_type] [protocol] [wait_flag] [login_name] [run path(server)] [run name] [argument]
proc1 stream tcp nowait test /test/bin/proc_test test_proc1 /test/bin/proc_test.ini proc2 stream tcp nowait test /test/bin/proc_test test_proc1 /test/bin/proc_test.ini |
[service]: 서비스 이름 /etc/services에 등록되어있는 이름. (반드시 /etc/services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.)
[socket_type] : TCP일 경우 stream, UDP일 경우는 dgram이라고 설정한다.
[protocol]: tcp혹은 udp (/etc/protocols에 등록되어 있음)
[wait_flag]: inetd가 서비스 요청을 받은 경우, 이후에 바로 다른 요청을 처리 할 것인지 아닌지의 여부에 따라 nowait, wait로 정의 한다. 그러나 stream일 경우는 반드시 nowait로 지정한다.1분에 최대 허용 접속수를 몇 회까지 제한 할 것인가에 대한 설정으로 이데 대한 설정이 없다면,1분에 40회가 기본 설정값이다. 만약 40회 이상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관련 서비스를 내려버린다. 만약, 작은 접속이 있을 경우에는 이 값을 nowait.100 or nowait.200으로 설정해 준다.
[login_name]: 어떤 사용자의 권한으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줄 것인가를 명시
[run path(server)] :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 시킬 것인가를 명시. 절대경로를 모수 명시해야 한다.
[run name]: 실행되어지는 프로그램의 실행명을 명시(ps -ef 로 검색했을때 보여지는 명칭)
[argument]: 실행 프로그램의 파라메터를 지정, (최대 5개까지 지정 가능)
-> 이렇게 설정해 놓은 후에는 inetd를 정지 시켰다가 다시 실행해야 한다.
<inetd를 정지>
#> inetd -k
<inetd 데몬의 재실행>
#> inetd 또는 #> inetd -c
[출처] Inetd 데몬 설정법|작성자 낭만공주